‘다시는 같은 피해가 없도록’ 항구적 복원 추진
지난 7월 집중호우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담양군이 총 1,230억 원의 복구비를 확보하고, 하천·도로·농업 기반시설을 포함한 전면적인 재설계에 착수했다.
담양군은 당시 공공시설 223억 원, 사유시설 186억 원 등 총 409억 원의 피해를 입었으며, 신속한 재난관리시스템(MDMS) 입력과 중앙부처 협의를 통해 복구비 1,230억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확보된 복구비는 공공시설 1,167억 원, 사유시설 63억 원으로 구성됐다. 공공시설은 담양군 관리 245개소(745억 원), 전라남도 관리 구간 6개소(412억 원), 군부대 4개소(10억 원)에 투입된다. 현재 전체 복구비의 17.5%인 216억 원이 집행 중이다.
이 중 국비 84억 원은 도로·소하천 등 기반시설 복구에, 특별교부세 75억 원(자체복구 35억 원·지방비 매칭 40억 원)은 긴급 복구구간에 투입되고 있다. 사유시설 재난지원금 63억 원 중 57억 원은 이미 3,425세대에 지급되어 주택·상가·농작물 피해 주민들의 생계 안정에 도움을 주고 있다.
군은 ‘다시는 같은 피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항구적 복원’을 목표로 재해예방 중심의 복구사업을 추진한다. 주요 침수지역은 하천 단면 확장과 제방 높이 상향으로 유수 용량을 1.5배 확대하며, 하천에는 콘크리트 옹벽과 생태블록 사면을 병행 설치한다.
또한 농업용 수로에는 대구경 배수관과 자동제어 펌프장을 도입하고, 배수펌프장과 양수장은 전원 이중화 설계를 적용해 정전 시에도 즉시 가동될 수 있도록 했다. 산사태 취약지에는 낙석방지망과 사면보강공을 추가하고, 교량 하부에는 세굴 방지공법을 적용한다.
군은 주민 의견을 반영해 배수로 개선, 하천 정비, 농경지 배수시설 보강 등을 우선 추진하고 있으며, 상습 침수 지역은 주민 제안 중심으로 설계를 조정해 시공 단계부터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정철원 담양군수는 “이번 복구는 단순한 피해 복원이 아니라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는 새로운 재난관리 모델을 구축하는 과정”이라며 “확보한 1,230억 원을 투명하고 신속하게 집행해 재난에 강한 담양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포커스N전남. 무단전재-재배포 금지]